좌변기와 양변기의 차이점은 좌변기는 아시아권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즉 쪼구려 앉아서 대변을 보는 변기이고 양변기는 의자처럼 앉아서 대변을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그런데 정확하게는 두변기 모두 좌변기입니다. 양변기라는 말뜻은 서양변기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푸세식 화장실 문화에서 서양식 변기라는 의미로 해석이 됩니다. 그리고 좌변기라는 뜻이 앉아서 일을 본다고 해서 좌변기라고 쓰는것이기에 양변기도 좌변기와 동일한 것입니다.
![좌변기 양변기 좌변기 양변기](https://onthewayinfo.ibuykorea.com/wp-content/uploads/2021/08/K-003-2.png)
한국사람들은 대부분이 양변기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외국만 가면 좌변기를 사용하는 아시아 국가사람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불편할 때가 많은데 정확이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위생적인 문제 구조 그리고 그 시작의 유래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좌변기와 양변기의 차이점
[1] 설치 방식과 구조는?
● 좌변기란?
바닥에 설치된 변기인데 사용자들은 쪼그려 앉은 자세로 사용하는 화징실입니다. 공중화장실 또는 오래된 건물들에 있고 위생적 관점에서 사용하고 접촉면이 적어서 감염 될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기도 합니다. 배관은 변기 아래로 연경되어있어서 사용자는 물을 부어서 배설물을 처리 또는 버튼을 눌러서 물을 내려 주어야 합니다.
● 양변기란?
좌식으로 앉아서 사용하는 변기인데 현대 주택들에서 사용하고 있고 공공시설들에서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앉는 형태로 편안함을 제공하고 있으나 변기 뚜껑과 의자부분이 따로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을 내리는 레버나 버튼이 달려있어서 사용에 매우 편리해요.
[2] 위생적인 차이가 있다?
좌변기는 사용 중에 신체가 변기에 직접 닿지 않아서 위생적인 장점이 있으나 양변기는 신체 접촉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위생적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관리가 잘되어있는 곳들은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지 못한곳들이 좀더 많기도 합니다.
[3] 사용 환경의 차이가 있다?
좌변기는 아시아 국가들에서 더 흔합니다.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양변기는 서구권에서 주로 사용이 되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4] 편의성 그리고 접근성이 좋다?
양변기는 앉아서 사용하기에 노약자, 임산부, 장애인들에게 매우 편리합니다. 그러나 좌변기는 쪼그려 앉는 자세로 인해서 관절 또는 근력이 약한 사람들은 매우 불편할 수 있습니다.
▶유래와 역사 안내
[1] 좌변기의 유래
인류 초기부터 존재했던 화장실 방식입니다. 물이 부족했던 시절에 단순히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구덩이를 파는 형태로 시작되었고 이후 현대적 배관 시스템이 추가되어 발전하였습니다.
[2] 양변기의 유래
기원 16세기 영국에서 발명된 수세식 변기로 최초 현대식 수세식 변기는 1596년, 영국의 존 해링턴이 설계하였습니다. 그리고 19세기 산업혁명 시절에 토머스 크래퍼가 변기 기술을 대중화 시키면서 현대 양변기의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그 후 문명화와 위생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고 전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적 전환 시기 ‘한국’
한국에서는 1970 ~ 80년대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 되면서 좌변기에서 양변기로 빠르게 전환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에 많은 가정들과 공공기관에서 양변기가 설치되었고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왠만한 곳에서는 좌변기를 볼 수 없다 할 수 있습니다.